분류 전체보기75 안드로이드 databinding 사용시 compileDebugJavaWithJavac 오류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build.gradle에 databinding 속성을 설정하고 액티비티의 xml 파일을 으로 감싼 후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통해서 Android12와 JDK8이 호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JDK11을 설치하여 연결해 주었다. 먼저, JDK11을 설치 한 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File > Project Structure > SDK Location > JDK location의 경로를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8.0_291.jdk/Contents/Home로 설정하면 해결된다. (맥os 기준) 2021. 12. 23. Observable에 관해서.. Observable Observable은 데이터의 스트림(흐름)입니다. Observable을 구독하는 Observer가 존재하고, Observable이 순차적으로 발행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반응한다. - onNext() : Observable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발행 - onComplete() : 데이터의 발행이 끝났음을 알리는 완료 이벤트. 더는 onNext() 호출이 발생하지 않음 - onError() :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림. onError() 이후 onNext()와 onComplete()는 더이상 호출되지 않음 [Observable의 생성] - create() 연산자 emitter를 이용하여 직접 아이템을 발행하고, 아이템 발행의 완료 및 오류의 알림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 ju.. 2021. 6. 8. RxJava란? RxJava란 ReativceX(Reactive Extensions)를 자바로 구현한 라이브러리이다. - 관찰하고있는 대상의 상태가 변했을 때 관찰자(Observer)에게 변경사항을 전달하는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 - 복잡한 비동기 및 에러 처리를 쉽게 처리할 수 있음 그 외 - RxAndroid : RxJava에 Android용 스케쥴러 등 몇 가지 클래스를 추가해 안드로이드 개발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라이브러리 - RxKotiln : RxJava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포팅하여 코틀린을 위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의 특정 부분을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써 구현한 라이브러리 - RxBinding : RxJava와 RxAndroid를 이용해 안드로이드의 위젯이나 View에 Rx를 사용하.. 2021. 6. 8. 이전 1 ···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