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

[안드로이드] Aws Amplify 라이브러리 v1 -> v2 마이그래이션 Amazon Web Services에서 메일이 날라왔다. 2022년 12월에 AWS는 안드로이드용 Amplify 라이브러리 v2의 정식 출시되었고, v1은 더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이러한 이유로 2024년 5월 31일전까지 Amplify 라이브러리를 최신으로 이전하고자 결심했다. 확인해보니 내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변동 사항들이 있었다. 1. AuthUser 정보를 가져오는 코드가 동기 코드에서 비동기 코드로 변경됨 2. 유저의 토큰을 userPoolToken에서 사용 3. AWSKeyValueStore, AwsMobileClient 등의 클래스가 사라짐 4. 비밀번호를 리셋하는 메소드에 username 파라미터가 추가됨이전 v1에서는 AuthUser와 Tok.. 2023. 11. 29.
비동기 작업의 결과값을 동기적으로 반환받는 방법 2가지 외부와 통신을 하는 로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비동기적인 로직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끔 비동기 함수를 호출하고 반환된 결과값을 받아 연속적으로 다음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CompletableFuture 2. suspendCoroutine 2023. 11. 8.
구글 맵 커스텀 마커 적용중 발생한 오류  위처럼 marker.xml을 만들었고 적용하였는데, 마커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는 tv_start와 tv_marker의 속성중 layout_gravity를 적용했을때 발생했다. 해결방법은 LinearLayout 대신 ConstraintLayout을 사용하여 해결했다. 2023. 11. 3.
The compiler option dagger.hilt.android.internal.projectType is not a recognized Hilt option. Is there a typo. 에러 The compiler option dagger.hilt.android.internal.projectType is not a recognized Hilt option. Is there a typo 위 에러는 project 수준의 build.gradle의 hilt 버전과 app 수준의 build.gradle의 hilt 버전이 상이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저의 같은 경우는 project 수준의 build.gradle의 hilt 버전이 2.44 였고, app 수준의 build.gradle의 hilt 버전이 2.42로 되어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여, 2.42 -> 2.44로 버전을 수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2023. 10. 30.
스튜디오 봇 설치하기 1. Android Developer의 preview에서 lguana(이구아나) 버전을 다운받고 설치한다. 2. 프로젝트를 아무거나 생성한다음 이미지에 표시된 안드로이드 봇 아이콘을 클릭한다. 3.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Next 진행하면 완료! 2023. 9. 25.
EditText - MultiLine과 IME_ACTION_DONE 함께 쓰기 개발을 하다가 EditText의 ui 요구사항 중이 1. 입력을 하다가 width에 텍스트가 가득차면 다음 줄로 넘어간다. 2. 화면에 최대 3줄까지 표시된다. 3. 키보드의 done 버튼으로 클릭 이벤트를 정의한다. 검색이나 Chat GTP에게 물어보면 xml에 이런식으로 작성하라고 하는데, 이는 위의 요구사항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android:imeOptions="actionDone" android:inputType="textMultiLine"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xml에 android:maxLines="3" android:inputType="textMultiLine" 그리고, 액티비티나 프래그먼트에 다음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binding.etPrompt.imeOptions = Ed.. 2023. 9. 11.